2018 경기과학탐구토론대회
(Gyunggi Young Scientists’ Tournament – GYST 2018)
1. 행사 목적
□ 가천과학탐구토론대회(이하 GYST)란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(KYPT)와 동일한 성격을 가진 대회로서, 창의적이고 융합인재교육을 강조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우리 교육원에서 매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토론방식의 대회이다. □ GYST를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장기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고, 토론능력 배양을 통해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리더로서의 소양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. □ 학생들 간에 과학토론문화를 확산시키고 상호 협력과 선의의 경쟁을 추구하면서 과학교육 방법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. |
2. 행사 개요
□ 일 정 : 2018. 9. 8(토) ~ 9. 9(일)-통학으로 실시
날짜
시간
2018. 9. 8(토)
2018. 9. 9(일)
9:00
09:00까지 집결
예술대학2 예음홀
(09:30분까지
각 경기장 도착)
10:00
예선 1 Round
예선 3 Round
11:00
12:00
13:00
중식(비전타워 학생식당)
중식(비전타워 학생식당)
14:00
예선 2 Round
결승전
예술대학2 예음홀
15:00
16:00
17:00
조별준비 및 귀가
귀가
18:00
□ 장 소 : 가천대학교 내
□ 조별 준비물 : 발표 PPT 파일, 노트북 1대 필수, 멀티탭 1개(길이 3m)
□ 참가대상 : 가천대, 강원대, 아주대, 동국대, 대진대, 강원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심화과정으로 1개팀(6~8명)을 구성하여 참가 (팀구성은 여러 분야가 섞일수록 대회준비에 좋습니다)
□ 참여인력 : 과학영재교육원 지도교수, 강사, 인솔조교 등
※ 학부모 관람은 결승전만 가능합니다.
※ 대회기간 중 오락, 채팅, 문자 금지
3. 운영 방침
□ 단순한 이론조사가 아닌 실험을 통한 탐구토론으로 대회준비 하여야 합니다.
□ 심사위원은 팀을 지도하여서는 않되며, 참가기관당 1~3명까지 참가가능
□ 대회참가시 교육원-이수시간은 토론대회 16시간을 반영토록 협조요망
□ 팀 구성시 여러분야를 혼합하여 편성하며 조별인원은 6~8명으로 편성(총 참가팀=16팀)
□ 대회 진행의 전 과정은 조별로 수행하며, 대회평가 기준에 따라 점수를 합산하여 별도 시상함
순
수상명
팀수
수여구분
비고
1
금상
1팀
가천대 총장상 및 메달
경기도교육감상
2
은상
1팀
원장상 및 메달
총장상
3
동상
1팀
원장상 및 메달
원장상
관련문의 : 031-750-5637(최정헌 연구원)
4. GYST 대회 진행 규칙
1) 경기진행순서
가) 대진표 추첨
나) 예선전
◦예선전은 총 3경기로 구성되며, 각 경기는 3~4회전으로 구성된다.
◦한조가 3팀인 경우, 한 경기는 3회전으로 구성되고 각 팀은 발표, 평론, 반론의 3가지 역할을 교대로 수행한다. 한조가 4팀인 경우에는 관찰 역할을 추가하여 4회전으로 구성한다. 대진표 추첨에서 결정된 조와 발표순서로 진행(1개조는 3~4 팀씩 구성)
◦각 회전은 대진표 추첨에서 결정된 조와 발표순서로 진행한다.
◦각 회전이 끝날 때마다 각 팀이 발표, 반론, 평론, 거절할 문제와 점수를 공개함
조당 팀수
예선 한경기의 진행순서 및 역할변화
진행 순서도
4팀인
경우
회전
팀
1회전
2회전
3회전
4회전
A팀
발표
관찰
평론
반론
B팀
반론
발표
관찰
평론
C팀
평론
반론
발표
관찰
D팀
관찰
평론
반론
발표
3팀인
경우
회전
팀
1회전
2회전
3회전
A팀
발표
평론
반론
B팀
반론
발표
평론
C팀
평론
반론
발표
발표자
반론자
평론자
-문제해결의 요점을 제시하며, 주요 과학적 개념과 탐구실험 방법과 결과를 제시
-발표를 위해 제공되는 기본 도구를 준비
-다른 도구가 필요하면 팀 자체에서 준비한 장치를 사용
-발표자에게 질문을 하고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있을 수 있는 오류를 지적하면서 발표를 반론
-해결 방법과 발표자의 발표에서 장점과 단점을 분석
-토론에서 자신의 해답을 제시하면 안 됨
-토론에서는 발표자에 의해 제시된 해답에 대해서만 토론
-발표자와 반론자의 발표에 대한 간략한 분석과 평론을 제시.
◦발표 수의 제한
- 예선전 한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팀원 중 발표자, 반론자, 평론자로 각각 한 사람만 발표석에 나갈 수 있고, 서로 다른 사람이어야 함
- 예선전 전체에서 한 사람은 한 번만 발표자가 될 수 있음(다른 팀원들이 짧은 의견을 발표하는 것은 허락됨)
◦ 시간 규칙(41분)
㉠ 반론팀은 발표팀에게 발표할 문제를 제안 (1분)
㉡ 발표팀은 문제를 수락하거나 거절 (1분)
문제해결 요구와 거절에 대한 규칙
- 각 회전에서 제시된 모든 문제는 다 달라야 함
- 반론팀은 발표팀에게 주어진 문제 중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외한 문제를 해결 하라고 요구할 수 있음
㉠ 발표팀이 먼저 발표했던 문제
㉡ 반론팀이 먼저 반론했던 문제
㉢ 반론팀이 먼저 발표했던 문제
만약 도전할 문제가 없을 경우, ㉢, ㉡, ㉠ 순으로 항목을 제거하며 요구할 수 있음
- 예선 3회전 동안 발표자는 벌점없이 세 번 요구를 거절할 수 있음
- 다음 거절부터는 매번 거절할 때마다 발표자는 0.2점(가중치에서)씩 가중 감점되며 이는 이후 모든 토론에 적용됨
(네 번 거절하면 발표 가중치 2.8, 다섯 번 거절하면 발표 가중치 2.6, …)
㉢ 발표팀의 준비 (시설, 자료 등) (3분)
㉣ 발표팀의 발표 (10분)
㉤ 반론팀의 질문과 발표팀의 대답 (3분)
㉥ 반론팀의 준비 (2분)
㉦ 반론팀의 반론 (5분)
㉧ 발표팀과 반론팀의 논쟁 (3분)
㉨ 평론팀의 질문과 발표, 반론팀의 대답 (3분)
㉩ 평론팀의 준비 (2분)
㉪ 평론팀의 평론 (3분)
㉫ 발표팀의 결론 (2분)
㉬ 심사위원 질문 (2분)
㉭ 심사위원의 평점 (1분)
다) 결승전
라) 결승전은 예선전 성적 상위 순으로 3~4개 팀이 진출하며, 결승전에 발표할 문제는 예선전 발표 유무와 관계없이 예선전 성적순로 정한다.) 단, 결승전 진출팀은 대회주관 기관에서 정한다.
- 심사기준:
가) 점수 평가
- 탐구토론의 각 차전이 끝나면 심사위원은 팀의 발표, 문제 해결, 토의 등을 종합하여 점수를 줌
- 각 심사위원은 1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를 줌
- 각 회전의 평가점수는 심사위원들의 준 점수의 평균점수에서 발표자는 가중치 3.0을, 반론자는 가중치 2.0을, 평론자는 가중치 1.0을 곱한 점수로 하여 소수 둘째자리 이하를 삭제
- 팀의 성적은 각 회전에서 얻은 점수를 합산하여 정함
(발표평균점수×3.0 + 반론 평균점수×2.0 + 평론평균점수×1.0)
- 심사위원의 점수중 최대점과 최저점을 합해 평균을 내고 이를 점수에 합산(최대와 최저를 뺀 나머지) 합산 점수를 인원수-1 명으로 평균점수를 산출
5. 대회준비 방법
대회관련
➡
팀별 연락망
구성 및 모임
담당문제배정
➡
개인이 담당한 문제 실험 및 ppt 작성
➡
7. 24(월)
팀별 지도
(문제당 30분)
모든 문제를 10분 이내로 PPT발표 + 20분 지도
(팀별로 진행)
➡
9.8(토)~
9.9(일)
대회참가
1